홈페이지에 나와있는 항렬표는 서기1917년부터 준용하기 시작한 대동 항렬표로, 1917년 이전에는 파별로 다른 항렬자를 쓰기도 했습니다.
그중에 효자공파는 33세손 東0 34세손 0煥 35세손 在0(또는 相0) 36세손 0鎭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므로, 글쓴 종친님은 35세손으로 보입니다.
37세손(글쓴종친님의 손자 항렬)은 대동항렬표를 따라 0宰(0재)항렬을 쓰시거나 1917년 이전에 효자공파에서 쓰던 항렬을 따라 0穆(화목할 목) 혹은 澤0(택0)을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왕이면 소목을 헷갈리지 않게 대동항렬표를 쓰는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어릴적엔 자헌공파로 알고 있었는데 어느날 할아버지께서 효자공파라고 하시더군요. 이후 효자공파로 알고 살아왔습니다.
대종회 항렬을 보니 저희 집안 돌림자와 일치하는게 없어서 혼란스럽네요.
할아버지께선 ㅇ욱(旭)자 돌림이셨고, 아버지께선 ㅇ환(煥)자 돌림이십니다. 저는 재(在)ㅇ자 돌림이고 아들은 ㅇ진(鎭)자 돌림입니다.
현재는 할아버지께서도 돌아가시고, 아버지께선 내용을 잘 모르시니 앞으로 뿌리를 어찌 이어 나가야 할지 막막합니다.
1. 저는 효자공파가 맞을까요?
2. 효자공파가 맞다면 몇세손일까요?
3. 돌림자는 맞게 쓰고 있는걸까요?
4. 제 손자가 태어나면 돌림자를 어떻게 써야할까요?
종친 어르신들의 가르침을 기다리겠습니다.